정선 전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 전씨는 백제 십제공신으로 환성군에 봉해진 전섭을 도시조로 하고, 전선의 후손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전이갑, 전보인, 전영보, 전이도, 전오륜 등이 활약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했다. 1985년에는 124,993명, 2015년에는 166,965명으로 인구가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정선 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족 | 전씨 |
관향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시조 | 전섭(全聶) |
중시조 | 전선(全愃) |
집성촌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강원도 평강군 강원도 철원군 함경남도 안변군 안변면 평안북도 정주군 |
인구 통계 | |
2015년 | 166,965명 |
주요 인물 | |
인물 | 전이갑 전보인 전영보 전이도 전오륜 전덕기 전형필 전예용 전재욱 전태일 전제국 전군표 전원책 전혜숙 |
2. 기원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가 백제를 건국할 때, 전섭(全聶)은 마려, 오간(烏干), 한세기(韓世奇), 곽충(郭忠), 범창(笵昌), 조성(趙成) 등 9명과 함께 공을 세워 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1]
정선 전씨(旌善 全氏)의 시조는 전섭의 8세손인 '''전선'''(全愃)이다. 전선은 백제의 대광공주(大光公主)를 배행하고 신라에 들어가 봉익대부(奉翊大夫),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냈으며, 정선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전이갑은 고려 통합삼한개국공신이었다. 전보인은 전이갑의 아들로, 989년 나주목경학박사로서 후학 양성에 힘써 포상을 받았다. 전영보는 매형 이숙이 원나라 환관으로 권력을 잡자 출세했다. 전이도는 공민왕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갔다가 왕의 즉위로 귀국하여 낭장에 임명되었다. 전오륜은 1373년 과거에 급제하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1]
3. 역사
4. 인물
정선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하였다.
4. 1. 고려
이름 |
---|
전빈(全賓) |
4. 2. 조선
정선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하였다.문과 | ||||
---|---|---|---|---|
전공간 | 전도해 | 전방경 | 전백령 | 전순인 |
전영덕 | 전의채 | 전재덕 | 전좌천 | 전학규 |
전효우 |
무과 | ||||
---|---|---|---|---|
전경성 | 전광춘 | 전국룡 | 전국진 | 전기성 |
전논태 | 전대관 | 전덕기 | 전덕명 | 전덕유 |
전도원 | 전두혁 | 전만운 | 전만웅 | 전만유 |
전명곤 | 전명복 | 전명선 | 전명한 | 전방선 |
전봉일 | 전성신 | 전성좌 | 전세령 | 전세호 |
전승길 | 전승순 | 전시근 | 전시우 | 전언규 |
전예원 | 전용득 | 전용택 | 전운 | 전운석 |
전의남 | 전익겸 | 전익만 | 전익신 | 전익화 |
전일항 | 전임술 | 전재득 | 전정 | 전정방 |
전종권 | 전진욱 | 전창현 | 전치량 | 전치영 |
전학로 | 전해룡 | 전향세 | 전홍구 | 전홍담 |
전홍신 | 전홍일 | 전효관 | 전후경 | 전흡 |
전흥만 | 전흥주 | 전흥창 |
생원시 | ||||
---|---|---|---|---|
전경달 | 전공신 | 전상규 | 전세량 | 전세주 |
전승준 | 전영한 | 전종연 | 전종전 | 전창섭 |
전팽년 |
역과 | ||
---|---|---|
전치검 | 전희윤 | 전희헌 |
율과 |
---|
전충 |
5. 항렬자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65세 | 66세 | 67세 | 68세 | 69세 | 70세 | 71세 | 72세 | 73세 |
---|---|---|---|---|---|---|---|---|---|---|---|---|---|---|---|---|---|---|---|---|---|---|---|---|---|---|
형(鎣) | 口우(雨) | 인(寅) | 口병(炳) | 영(瑛) | 口탁(鐸) | 제(濟) | 口표(杓) | 찬(燦) | 口재(宰) | 상(商) | 口구(求) | 계(桂) | 口휴(烋) | 규(珪) | 口태(兌) | 한(澣) | 口목(穆) | 형(炯) | 口순(珣) | 용(鏞) | 口준(濬) | 장(樟) | 口도(燾) | 정(珽) | 口일(鎰) | 홍(泓) |
74세 | 75세 | 76세 | 77세 | 78세 | 79세 | 80세 | 81세 | 82세 | 83세 | 84세 | 85세 | 86세 | 87세 | 88세 | 89세 | 90세 | 91세 | 92세 | 93세 | 94세 | 95세 | 96세 | 97세 | 98세 | 99세 | 100세 |
---|---|---|---|---|---|---|---|---|---|---|---|---|---|---|---|---|---|---|---|---|---|---|---|---|---|---|
口환(桓) | 희(爔) | 口선(瑄) | 훈(鑂) | 口흡(洽) | 기(杞) | 口효(熇) | 배(培) | 口옥(鈺) | 박(薄) | 口모(模) | 경(炅) | 口준(埈) | 주(鑄) | 口환(渙) | 병(柄) | 口걸(杰) | 찬(瓚) | 口록(綠) | 형(泂) | 口구(榘) | 口황(煌) | 은(垠) | 口강(鋼) | 철(澈) | 口종(棕) | 욱(煜) |
6. 인구
연도 | 가구 수 | 인구 수 |
---|---|---|
1985년 | 30,623가구 | 124,993명 |
2000년 | 44,316가구 | 141,380명 |
2015년 | 166,965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